본문 바로가기
기억 그리고 교과론

스키마

by 기억하는 남자 2022. 4. 25.

스키마

 

스키마의 개념

사전 지식이나 배경 지식이 지식의 내용적인 면을 가리킨다면, 스키마는 사전 지식이나 배경 지식이 인지 구조 내에 존재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스키마의 종류

  스키마는 형식 스키마와 내용 스키마 두 가지가 있다. 형식 스키마는 글이나 이야기가 전개되는 방법, 즉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자가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담화 구조나 규약에 대한 지식으로서 학자에 따라서는 텍스트적 스키마라고도 한다. 내용 스키마는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기존지식으로 영역 특수 지식인 동시에 보다 일반적인 세상 지식이기도 하다. 독자들이 화제에 대하여 알고 있는 것이 그 화제에 대한 새로운 메시지의 해석을 구조화하도록 돕기 때문에 내용 스키마는 형식 스키마보다 이해에 더 영향력을 갖는다. 

 

스키마의 기능

  스키마는 독해와 기억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를 몇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스키마는 글에 담긴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한 이상적인 지식 구조를 형성해 준다. 둘째, 스키마는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의 판단을 도와 준다. 그리하여 중요한 정보를 더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도록 한다. 셋째, 스키마의 기능은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생략된 혹은 없는 부분의 내용을 추론을 통하여 메워 넣는다. 넷째, 학습자료의 요약과 편집을 수월하게 도와 준다. 독자들은 스키마를 가지고 있는 글로부터 좀더 쉽게 주제를 구성할 수 있다. 글의 내용이나 내용의 제시 순서를 독자가 이해한 후 그것을 그대로 펴현한다 할지라도, 글에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이미 독자의 머릿속에 기존의 스키마에 맞게 통합된 채 재편집되고 요약되어 있는 상태의 것이다. 다섯째, 스키마의 기능은 정보 탐색에서 탐색의 순서와 절차를 제공하여 준다는 것이다. 여섯째, 스키 기능은 수많은 정을 어떤 일관성 있는 형태로 재구성하여 준다는 것이다. 

 

읽기 교육과 스키마

  우리는 스키마 이론으로부터 읽기 교수-학습이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교사는 읽기 전, 중, 후의 활동에 대하여 각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수하는 데 이를 고려해야 한다. 스키마 이론은 읽기 전 활동도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게 해 준다. 둘째, 읽기 전 활동으로서 학습자들의 기존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교수학습활동이다. 한편으로는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글 이해에 필요한 스키마를 교사가 보충해 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새로운 단원을 교수학습하고자 할 때, 교사는 무엇보다 먼저 학습자들의 기존 스키마에 대한 진단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넷째, 스키마 이론은 수업 과정에서 추론 활동을 더욱 강화할 것을 시사한다. 글 내용 속에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나 사건 전개 예측 등과 같은 추론 활동은, 제시된 글 내용을 보다 명료하게 인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이해한 내용의 기억에도 도움이 된다. 다섯째, 학습자의 지역적, 문화적 특성에 맞는 읽기 교육 내용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읽기 자료의 제목이나 삽황에 대하여 보다 세심한 교육적 배려가 요구된다. 

'기억 그리고 교과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하기 불안  (0) 2022.04.25
공감적 대화하기  (0) 2022.04.25
대화주의  (0) 2022.04.25
기억의 원리  (0) 2022.04.22
기억력의 역사  (0) 2022.04.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