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억 그리고 교과론

매체 관련 정리

by 기억하는 남자 2022. 6. 2.

1. 화법에서 매체 활용 이유와 종류
화법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매체, 자료로서의 매체

2. 자료로서의 매체가 주는 효과, (주로 시각자료)
청중의 이해를 도움
청중에게 강렬한 인상주기
⇒ 주로 정서적 측면을 강조한다.
(청중에게 극적인 효과, 핵심 내용을 오래 기억에 남게 하기 위하여)

3. 매체 이용의 유의점
발표자의 위상을 말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 발표 개요를 서술하는 존재로 낮출 수 있다.
시각 자료가 생각의 흐름을 방해하고 말의 속도를 늦출 수 있다.
→ 극복 방법: 보조자료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뒷받침하는 것일 뿐, 핵심적인 아이디어 그 자체는 아님을 지도한다.

4. 보조 자료에 과도하게 의존하면 발표의 내용 분석과 내용 개발보다 보조 자료 준비에 시간을 더 활용하게게 된다.
→ 극복 방법: 발표 준비 단계에서 철저한 계획에 의한 준비를 지도한다.

5. 매체의 종류
막대 그래프: 양이나 빈도 등을 비교한다.
선 그래프: 시간에 따른 추세나 변화를 보여주거나,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의해 받는 영향을 보여준다.
원 그래프: 부분과 전체의 관계, 상대적 비율, 백분율을 보여준다.

 

해설서 관련
1. 화법과 매체언어
면대면 소통 vs 매체 언어=>화법의 차이 이해
(1) 면대면 소통: 소통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같은 공간과 시간에 존재, 음성.몸짓.표정 등을 이용한 의사소통
(2) 매체 언어: 인터넷, 휴대전화 등의 매체를 통해 의사소통, 공간과 시간의 제약에서 벗어남

 

2. 매체를 통한 화법=> 인간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
매체를 통한 화법이 인간관계에 미친 영향: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남, 쌍방향적 의사소통, 인터넷 댓글을 통한 사회적 소통 등을 통해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기능을 함.

3.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여러 가지 의사소통 상황에서 매체 활용의 적절성을 평가
(1) 매체 활용의 경우: 전달 경로로 매체를 활용, 화법의 보조자료로 매체를 활용
(2) 보조자료(시각자료)의 활용 효과: 내용 분명히 제시, 청자의 흥미와 관심을 끄는 데 도움, 청자의 집중을 환기하는 효과, 청자의 기억에 도움
(3) 매체 활용의 적절성 평가 기준
: 의사소통 상황과 화법의 목적에 적절한 매체를 활용하고 있는가/매체를 활용하는 방식이 내용을 분명하게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청자의 흥미와 집중도를 높이고 기억을 돕는 데 기여 하는가

'기억 그리고 교과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을 위한 글쓰기  (0) 2022.06.10
작문계획  (0) 2022.06.02
평가 (상호평가, 자기평가, 분석적, 총체적 평가)  (0) 2022.06.02
자아개념 및 자아노출  (0) 2022.05.31
현시적 교수법  (0) 2022.05.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