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억 그리고 교과론

학습을 위한 글쓰기

by 기억하는 남자 2022. 6. 10.

① 주제를 기존의 지식 및 경험과 관련지어 구체적으로 정교화한다.
이 내용은 학습을 위한 글을 쓸 때 글의 주제를 기존 지식과 경험과 관련지어 정교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하여 설정하였다. 학습을 위한 글은 지식이나 정보를 정리하고 정교화하며 내면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하는 글이다. 그러므로 학습을 위한 글을 쓸 때에는 독서나 학습 등을 통해 필자가 이미 알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글의 주제를 구체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한글의 세계화’를 주제로 하여 글을 쓴다고 할 때, 국어의 음운이나 형태소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떠올려 보고 글의 주제를 ‘한글의 세계화가 가능한 이유’와 같이 구체적으로 정교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작문 활동은필자가 기억하고 있는 지식의 인출과 재구성을 촉진함으로써 지식이나 정보의 기억과 이해, 확장과 심화를 효과적으로 돕는다. 학습을 목적으로 하여 글을 쓰는 활동은 작문이 가지고 있는 학습 도구로서의 기능에 주목한 것이다. 학교 교육에서 작문을 강조하는 이유도 글을 쓰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사고 작용이 교과 지식의 효과적인 이해와 기억, 확장과 심화에 크게 기여하기 때문이다.

② 주제와 관련한 글을 찾아 읽고 자신의 관점을 정리한다.
 이 내용을 학습을 위한 글을 쓸 때 주제와 관련한 책을 읽고 필자 자신의 관점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글을 쓸 때 필자들은 일반적으로 그 주요내용을 글을 읽고 마련한다. 글을 읽고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간추려낸 후 글을 쓸 때 글의 내용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글이 제공하는 지식이 정보의 가치를 판단하고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으면 능동적인 학습, 적극적인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필자 자신의 관점에 따라 지식이나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할 때 능동적이면서도 적극적인 학습을 기대할 수 있다.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글을 쓸 때 필자가 자신의 관점을 수립하지 않으면 글이 제공하는 지식이나 정보를 단순 복제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지식이나 정보의 재구성 과정을 통해 더 깊이 있는 학습에 도달하지 못하고 자칫 복제와 표절에 빠지는 것도 필자가 자신의 관점을 정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글을 쓸 때에는 필자 자신의 관점을 정리하고 이에 따라 주제와 관련된 글을 읽으면서 지식이나 정보를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③ 주제에 대한 자신의 지식과 관점이 명료하게 드러나도록 글을 쓴다.
  이 내용은 학습을 위한 글을 쓸 때 필자 자신의 지식과 관점이 명료하게 드러나도록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하여 설정하였다. 학습을 위한 글을 쓸 때 필자들은 학습 내용과 관련된 어떤 주제를 중심 내용으로 다루게 된다. 이 때 필자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과 관점을 명료하게 드러내어 글을 써야 한다. 필자는 주제와 관련하여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을 드러냄으로써 그 지식의 심층적인 이해와 재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주제에 대한 관점을 드러냄으로써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능동적인 학습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을 위한 목적으로 글을 쓰는 과정은 필자의 지식을 재구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글의 주제와 관련된 지식을 떠올려 글을 씀으로써 그 과정에서 지식의 정교화, 심화, 확장 등의 재구성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글의 주제에 대한 관점을 설정하여 표현함으로써 지식의 비판적 수용이 가능해지고 지식의 내면화를 통한 성공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학습 경험을 얻게 된다. 이러한 경험은 글을 통해 표현한 지식과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렇게 축적되고 재구성된 지식은 독서 과정에서 추론적 이해의 자원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학교 학습 장면에서는 작문이 지닌 학습기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작문 활동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④ 다양한 작문 과제에 대하여 논술문, 논문, 요약문, 실험 또는 탐구 보고서 등 여러 가지 종류의 글을 쓴다.
  이 내용은 학습을 위한 글을 쓸 때 논술문, 논문, 요약문, 보고서 등 여러 가지 종류의 글을 써본 경험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학습을 위한 글은 학교 학습 장면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학교에서는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핵심적인 교과 지식을 학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교과 지식을 종합하고 분석하며 가치를 평가하는 논술문, 교과와 관련된 글을 읽고 그 중심 내용을 정리하는 요약문, 교과 지식을 탐구하여 작성하는 논문이나 보고서 등이 빈번하면서도 폭 넓게 활용된다. 그러므로 학교 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여러 가지 종류의 글을 쓰는 경험을 중시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종류의 글을 쓰는 경험은 현대 사회가 평생 학습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현대의 사회생활을 원만하게 영위하고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적인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학습을 넘어 평생 학습을 지향해야 한다. 평생학습을 지향하는 만큼 다양한 작문 과제에 따라 논술문, 논문, 요약문, 보고서 등 여러 가지 종류의 글을 쓰는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학습 기간의 연장은 학습에 필요한 글을 다양한 형태로 작성해야 하는 기회가 많아진다는 뜻이고, 이는 곧 학습에 필요한 글을 능숙하게 작성할 수 있어야 성공적인 학습을 이룰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출처: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해설서 9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