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억 그리고 교과론

과정 중심 작문 지도의 효과와 유의점

by 기억하는 남자 2022. 6. 13.

1. 과정 중심 작문 지도의 효과

① 글을 잘 쓸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가르쳐 줄 수 있음 ;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역동적으로 참여하여, 그들이 필자로서의 책임을 인식하도록 도와주고 일련의 쓰기 과정을 통달할 수 있도록 적절히 안내해 주는 역할
② 과정 중심 접근을 통해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증진 ; 여러 실험 연구를 통해 볼 때, 과정 중심의 쓰기 지도가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증진에 더욱 효과가 높다고 입증됨
③ 과정 중심 접근을 취하면 학생 개개인에 대한 정보를 좀 더 풍부하게 얻을 수 있음 ; 교사는 개인별로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과정이나, 다른 친구들과 협의하는 것을 관찰하면서, 학생들 각자가 어떤 면에 장점을 보이고, 어떤 면에 단점을 지니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학생들 각자에게 맞는 내용과 방식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④ 과정을 강조하는 교실에 있는 학생들은 쓰기에 대한 인지적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음 ; 과정 중심의 접근에서는 매시간 한 편의 완벽한 글을 써야 한다는 부담을 주지 않으며, 구두법이나 철자의 정확성은 최종 단계에서나 요구하기 때문에 쓰기 결과에 대한 부담을 그만큼 줄일 수 있다. 
⑤ 과정을 강조하는 교실에 있는 학생들은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경험의 가능성이 높다 ; 과정 중심 접근은 협동 학습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서 다른 사람의 장단점을 알게 되며, 쓰기 행위를 서로 격려하거나 때로는 잘못을 지적해 주는 등, 서로 배우고 가르치는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2. 과정 중심 작문 지도 시 유의점

① 과정을 중시한다고 해서 결과(글)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② 각각의 과정에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이나 전략을 지도하여 절차만 있고 내용은 없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한다. 
③ 쓰기의 각 과정을 엄격히 구획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과정의 연계성과 회귀성을 강조한다. 
④ 각 과정에서 주로 하는 활동(전략)을 해당 과정에서만 수행한다고 단정해서는 안 되고, 각 과정별로 제시되어 있는 하위 활동(전략)을 순서대로 할 필요는 없으며, 모두 할 필요도 없다. 
⑤ 부분(개별 전략)과 전체(개별 전략을 활용하여 한 편의 글을 잘 쓰는 것)의 조화를 생각하여 초기에는 개별적인 전략 지도를 초점에 두고 후반부에 이들 개별 전략을 활용하여 한 편의 글을 쓰는 것을 강조한다. 
⑥ 일련의 글쓰기 과정에서 자기가 제대로 쓰고 있는지, 전략을 제대로 할용하고 있는지 등을 계속적으로 점검하고 통제하는 초인지를 강조한다. 
⑦ 글을 쓰기 전이나 글쓰기 전체 단계에서 협의를 중시하며, 협의의 대상을 다양화 해야 한다. 

'기억 그리고 교과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성적 글쓰기  (0) 2022.06.14
문제해결로서의 작문  (0) 2022.06.14
독자(능동적, 평생, 자기주도적 독자)  (0) 2022.06.11
학습을 위한 글쓰기  (0) 2022.06.10
작문계획  (0) 2022.06.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