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상을 섬세하게 관찰하여 의미를 발견한다.
① 자기 성찰을 위한 글은 필자가 글쓰기를 통해 자기 이해를 추구함으로써 정서적·심리적 성숙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다.
② 필자가 글쓰기를 통해 자기 이해를 실현하고 정서적 성숙과 심리적 성숙을 이루기 위해서는 자신의 일상을 반성적인 태도로 관찰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③ 필자는 자신의 일상을 반성적으로 관찰할 때 ‘글을 쓰는 자아’와 ‘글을 쓰는 자아를 지켜 보는 자아’로 분리되는 경험을 한다.
㉠ 이 과정에서 자신의 현재 경험과 정서는 어떠하고, 이런 경험과 정서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차분하게 살필 수 있게 된다.
㉡ 이러한 과정에서 필자는 자신을 더 잘 이해하게 되고 돌볼 수 있게 된다.
2. 생활 경험 속에서 얻은 깨달음을 구체화하여 글을 쓴다.
① 생활 경험을 반성적으로 관찰하고 얻는 깨달음은 추상적이거나 모호한 경우가 많다.
㉠ 그러므로 자기 성찰을 위한 글을 쓸 때에는 생활 경험에서 얻은 의미를 구체적인 언어로 구체화하면서 글을 써야 한다.
② 한편 독자의 요구 분석과 같은 수사적 전략을 강조하는 다른 글과 달리, 자기 성찰을 위한 글은 이러한 수사적 전략보다는 체험의 진솔한 표현을 중시한다.
㉠ 그러므로 자기 성찰을 위한 글을 쓸 때에는 경험에서 얻은 의미를 구체화하면서 표현하되 진솔하게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자신의 생활 체험을 즐겨 쓰는 습관을 기른다.
① 생활의 체험은 매일매일 반복적이면서도 새롭게 이루어지며 필자가 추구하는 삶의 의미도 그 체험에 투영되어 있다.
㉠ 그러므로 쓰기 경험을 통해 자기 성찰이라는 목적을 달성하려면 자신의 생활 체험을 즐겨 쓰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다.
② 이러한 쓰기 활동은 필자에게 긍정적 정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고 건강하고 적극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③ 작문이 가지고 있는 성찰적 기능, 긍정적 정서 형성의 기능을 잘 드러내려면 생활 체험을 즐겨 쓰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다양한 작 문 과제에 대하여 감상문, 수필, 회고문 등 여러 가지 종류의 글을 쓴다.
① 삶의 의미나 생활의 깨달음을 발견할 수 있는 체험은 매우 다양하다.
㉠ 일상적인 삶의 경험 이외에도 예술적 대상을 감상하는 체험도 가능하고, 어떤 사회적 사건이나 현상에 대한 체험도 가능하다.
㉡ 일상적인 생활 경험이라고 해도 각 개인이 처한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다.
㉢ 그러므로 이러한 다양한 삶의 경험을 반성적으로 관찰하고 그 경험에서 발견한 의미를 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감상문, 수필, 회고문 등 여러 가지 종류의 글을 쓰는 활동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 이는 자기 성찰의 기회를 더 풍부하게 제공함으로써 필자의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안정을 더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출처 : 교육과정해설서】
'기억 그리고 교과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성적 글쓰기 (0) | 2022.06.14 |
---|---|
문제해결로서의 작문 (0) | 2022.06.14 |
과정 중심 작문 지도의 효과와 유의점 (0) | 2022.06.13 |
독자(능동적, 평생, 자기주도적 독자) (0) | 2022.06.11 |
학습을 위한 글쓰기 (0) | 2022.06.10 |
댓글